본문 바로가기
Aviation/System

[ATA.32] Landing Gear(착륙장치, 제동계통, 타이어계통)

by 준보틱스 2024. 6. 1.

착륙장치

  • 착륙장치 : 올레오 스트럿(Oleo Strut)
올레오 스트럿
- 착륙장치에 많이 사용하는 완충장치, 70~80% 완충효율, 현대항공기에 사용
- Air(질소) / Oil(5606) strut
- 스트럿의 노출된 부분의 길이를 측정, 질소로 맞춤, 공기압이 낮으면 가라앉음
- 상부실린더에는 질소, 하부실린더에는 작동유로 채워짐
작동원리 - 항공기 착륙 시 하부실린더 작동유가 미터링핀과 오리피스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마찰과 저항으로 충격흡수(1차흡수), 올라간 작동유가 상부실린더에 있는 질소를 압축하고 압축 한 질소가 다시 팽창하면서 충격흡수(2차흡수)
보충시기
- 스트럿의 하부실린더가 노출된 길이(Dimension X)를 보고 판단
- 길이가 규정값 이내에 들지 않으면 L/G wheel well 내부 부착된 Servicing Chart를 참 고해 규정값 이내로 맞춰준다
보급절차
  1. Jacking(작동유, 질소 빼낼 때 항공기가 가라앉기 때문에)
  2. 착륙장치 상부실린더 Air V/V를 어느정도 loose시켜 질소를 완전히 빼내줌(Dimension X 값이 0.9inch가 될 때까지 압축)
  3. Oil charging V/V 통해 작동유 보급(Air charging V/V에 흘러 나올때까지 보급)
  4. Air charging V/V 통해 질소 보급
  5. Jack Down
  6. 노출된 길이 Dimension X 보고 확인

제동계통

- Normal 상황 시, HYD B SYS에서 brake가 작동

- SYS fail 시, HYD A SYS에서 brake가 작동

- SYS A, B 둘 다 fail 시, Brake accumulator에서 작동(2~4번 작동 가능함)

  • 작동유 누설점검

- 누설점검 시 계통이 작동압력 상태인지 확인(fitting을 조일 때는 압력이 없는 상태에서 실시)

- 모든 wheel에 chock을 고이고 GRD lock pin을 설치, L/G Door Lock, HYD SYS No.4에 압력 공급

- Captain or First officer의 왼쪽과 오른쪽 Brake pedal을 5회 동안 완전히 밟았다 풀었다 반복

- Brake Pedal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유 누설이 없는지 확인

- 항상 적정 수준의 HYD fluid를 유지

- 만약 계통 내 공기가 있다면 bleeding하여 제거(중력식, 압력식)

  • 브레이크 작동점검
  1. 드래깅(dragging) 현상 : 제동장치에 공기가 차 있어 제동 페달을 밟은 후 발을 때더라도 제동장치가 원래 상태로 회복이 안되는 현상(air bleeding)
  2. 그래빙(grabbing) 현상 : 제동판이나 제동 라이닝에 기름이 묻거나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제동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거칠어지는 현상(작동유 누설검사)
  3. 페이딩(fading) 현상 : 제동장치가 과열되어 제동 라이닝 등이 소실됨으로써 미끄러지는 상태가 발생하여 제동효과가 감소되는 현상
  4. 스펀지(sponge) 현상 : 계통 내 공기가 차있어 퍽퍽한 느낌이 드는 현상(air bleeding)

타이어계통

● 타이어(Tire)

- 타이어는 고무, 철사, 인격포로 여러 겹 적층되어 있고 Tube의 유무에 따라 Tube Tire, Tubeless Tire가 있고, Carcass 구조로 Bias Tire와 Radial Tire로 나뉜다.

- Bias Tire : 전통적 타이어, 45도 전후 사선 cord가 서로 대각선으로 여러층으로 구성무게↑, sidewall 두꺼움(충격흡수성↓), service life↓

- Radial Tire : 최신항공기에 사용, cord가 Radial(방사형), sidewall 얇음(충격흡수성↑), 무게↓, 내구성↑, 수명↑, 중량↓, 진동↓, 가격↑

  • Tire 구성품

- TREAD : 노면과 접하는 부분, 미끄럼 방지, 주행 중 열 발산을 위해 여러 모양 홈이 있음

- CARCASS PLIES : 타이어 골격

- SIDEWALL : 카커스플라이를 보호하도록 설계된 고무층

- BEAD : 타이어를 휠에 장착시키는 역할

- Tire에 질소 사용 : 불연소 가스이므로 화재 폭발 위험도↓, 부식성↓

- Tire Pressure check : Daily Check로 수행, 동절기 : 2H↑, 하절기 : 3H↑

- Tire 보관방법 : 직사광선을 피하고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두꺼운 종이로 공기를 차단 후 보관, 항상 타이어 보관대에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

- Tire에 그리스가 묻었을 경우 조치사항 : 중성 세제와 더운 물로 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