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4

[WSL] WSL 정의 및 설치 ■ WSL 정의WSL(Window Subsystem for Linux)은 Windows에 리눅스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하위 시스템이다. WSL에 우분투(Ubuntu), 데비안(Debian), 오픈수세(OpenSUSE), 칼리(Kali) 등을 설치할 수 있다. Ubuntu on Windows는 WSL에 설치할 수 있는 Ubuntu 배포판이다.​WSL을 이용하면 멀티부팅이나 VM과 같은 느린 환경이 아니라 윈도우에서 리눅스 환경처럼 Powershell을 Bash처럼 사용하고, Linux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Linux 커널조차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부팅속도도 매우 빠르고 적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WSL 설치"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과 .. 2024. 6. 24.
소프트웨어 종류 및 동작 원리, 운영체제, 커널, 프로세스와 스레드 ■ 소프트웨어(Software)소프트웨어란 컴퓨터를 비롯한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으로 그 수행에 필요한 절차, 규칙, 문서 등의 총칭을 말한다.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서 구동되는 논리적인 무형물로, 사용자의 명령을 하드웨어에게 전달해주는 시스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하드웨어가 없으면 애초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없고, 소프트웨어가 없는 하드웨어는 빈 껍데기나 다름없다. 서로 반대되는 개념보다는 각자 역할을 갖고 시스템을 이루는 상호 보완적 관계라고 보면 된다.​하드웨어가 쇠붙이, 전자공학적인 부품 그리고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이란 큰 의미에서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모든 일들을 통칭하는데,.. 2024. 6. 23.
펌웨어(Firmware) ■ 펌웨어펌웨어는 컴퓨팅과 공학 분야에서 특정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소프트웨어로, 소프트웨어를 읽어 실행하거나 수정하는 것도 가능한 영구적 소프트웨어를 뜻한다.출처 : 위키백과 펌웨어는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특수 용도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소프트웨어라고 하지만 보통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도맡아 지원한다.​■ 펌웨어와 소프트웨어위키백과에서 펌웨어는 소프트웨어라고 정의했다. 여기서 처음 들었던 의문점은 "소프트웨어면 소프트웨어지 왜 굳이 펌웨어라는 명칭을 사용할까" 였다.일반적인 소프트웨어(OS, Application 등)는 RAM에서 구동된다.펌웨어는 영구적인 명령어와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조단계에서 ROM(혹은 PROM)에 기록된다.즉, 내용이 날아가면 안되고 사용자가 .. 2024. 6. 23.
[운영체제 & 하드웨어] OS & HW ■ 운영체제 정의운영체제의 정의를 설명하는건 굉장히 까다로운데,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공통된 소프트웨어 플랫폼,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관리자 등으로 다양하다. 즉, 운영체제(OS)는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메인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키기 위해 CPU, 메모리 등 하드웨어의 자원이 필요하다. 운영체재는 하드웨어의 자원들을 이용해서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이 외에도 운영체제는 네트워크 통신, 입출력 장치 관리 등 우리가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모든 것을 관리한다.​운영체제의 가장 주된 목적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것이다. 컴퓨터에는 CPU, 메모리,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네트워크 등의 하드웨어가 있으며 이를 잘 관리해주어야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