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38

[네트워크] OSI 모델 7계층_HTTP 프로토콜 ■ HTTP 프로토콜※ 웹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들웹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된다. 웹 표준이라고 불리는 HTML, Javascript, CSS는 프론트 엔드로 실행은 클라이언트 쪽에서 되지만, 서버 쪽에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을 받아오는(웹 표준 데이터) 프로토콜을 HTTP 프로토콜이다. HTTPS는 HTTP에 보안 요소들을 추가한 프로토콜이다. ASP/ASP.NET, JSP, PHP 등은 벡엔드로 서버 쪽에서 실행되는 코드로 웹 서버 페이지를 만드는 기술들이다.● HTTP 프로토콜의 특징Hyper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서, www에서 쓰이는 핵심 프로토콜로 문서의 전송을 위해 쓰인다. 오늘날 거의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2024. 6. 25.
[네트워크] NAT와 포트포워딩 ■ NAT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꼭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는데에만 사용하는 기술은 아니다. 사설 IP 대역들이 통신할 때 공유기에 할당된 공인 IP로 변경되어 통신한다. 하지만 바깥 네트워크에서는 공유기가 통신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공유기 안의 NAT 테이블에는 통신한 기.. 2024. 6. 25.
[네트워크] OSI 4계층 모델_TCP 프로토콜 ■ TCP 프로토콜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통신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TCP 프로토콜은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서 연결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잘 받았는지 응답을 받는다(확인한다). TCP의 안정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일반적으로 TCP 대신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TCP는 UDP보다 안전하지만 느리다.■ TCP 프로토콜 구조 일반적인 길이는 20바이트이지만 옵션이 붙으면 최대 60바이트까지 가능하다.Source Port : 출발지 포트 번호, 2바이트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 번호, 2바이트.. 2024. 6. 24.
[네트워크] OSI 4계층 모델_TCP, UDP 프로토콜 ■ 4계층 프로토콜● 4계층에서 하는 일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송신자의 프로세스와 수신자의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세스란 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메모리에서 동작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 그리고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프로토콜(4계층 프로토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결 지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다. 보다 단순한 전송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도 있다.​● TCP 프로토콜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2024. 6. 24.
[네트워크] OSI 모델 3계층_IP 프로토콜 ■ IPv4 프로토콜● IPv4가 하는 일IPv4 프로토콜은 멀리 있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IPv4 프로콜은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 이것을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된다.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한다.​● IPv4 프로토콜 구조IPv4 프로토콜은 20바이트이다. 최대 10개 옵션이 붙을 수 있는데 한 옵션 당 4바이트이기 때문에 최대 60바이트이다. 그러나 대부분 옵션 없이 사용한다.Destination Address : 도착지 IP, 4바이트Source Address : 출발지 IP, 4바이트Version .. 2024. 6. 24.
[네트워크] OSI 모델 3계층_ARP 프로토콜 ■ ARP 프로토콜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 주소를 IP 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 주소와 MAC 주소가 모두 필요하다. 이 때 IP 주소는 알고 MAC 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쉽게 말해서,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할 때 필요한 것은 MAC 주소(물리적인 주소)이다. 하지만 우리는 IP 주소를 입력하는데 컴퓨터들끼리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보는데 이용하는게 ARP 프로토콜이다. AR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컴퓨터가 상대방의 컴퓨터의 MAC 주소를 알아와서 통신을 하는 개념이다.■ ARP 프로..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