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IT지식28

[WSL] WSL 정의 및 설치 ■ WSL 정의WSL(Window Subsystem for Linux)은 Windows에 리눅스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하위 시스템이다. WSL에 우분투(Ubuntu), 데비안(Debian), 오픈수세(OpenSUSE), 칼리(Kali) 등을 설치할 수 있다. Ubuntu on Windows는 WSL에 설치할 수 있는 Ubuntu 배포판이다.​WSL을 이용하면 멀티부팅이나 VM과 같은 느린 환경이 아니라 윈도우에서 리눅스 환경처럼 Powershell을 Bash처럼 사용하고, Linux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Linux 커널조차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부팅속도도 매우 빠르고 적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WSL 설치"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과 .. 2024. 6. 24.
[파일 형식] 래스터파일 vs 벡터파일, DWG파일 vs DXF파일 ■ 래스터 파일과 벡터 파일벡터 파일은 디지털 사진, 그래픽, 로고와 같은 여러 이미지 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주요 이미지 유형 중 하나이다.​디지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작업자는 래스터와 벡터라는 두가지 이미지 파일 유형을 접하게 된다. 이 두 파일은 생성 원리가 다르므로 프로젝트에 따라 적합한 파일 유형을 결정해야 한다.​래스터 파일 유형의 이미지는 일정한 수의 정사각형 픽셀로 구성된다. 따라서 픽셀로 채워진 공간을 벗어나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면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벡터 파일의 이미지는 픽셀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그리드(격자)에 고정된 점을 사용하여 수학적 공식에 기반한 직선과 곡선으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해상도 손실 없이 이미지를 무한대로 크게 또는 작게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2024. 6. 24.
[네트워크] 허브, 스위치, 라우터, 공유기 ■ 허브허브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 대의 디바이스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비이다. 쉽게 말해서 허브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개의 기기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포트는 허브에 따라 다양하며, 1개의 포트에 한 대의 디바이스가 할당된다.​허브는 간단한 데이터 전달 기능을 제공하며, 주로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된다. 허브의 가장 큰 특징은 네트워크 내 모든 기기에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많은 충돌이 발생하여 하나의 허브에는 많은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없다. 동일한 이유로 보안성 또한 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허브는 스위치나 라우터와 같은 고급 네트워크 장치에 비해 성능이 낮아, 현재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2024. 6. 24.
테더링이란? ■ 테더링 정의 테더링(tethering, PAM)이란 스마트폰 등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모뎀으로 활용하여, 노트북 등 다른 주변 기기를 인터넷에 1:1 연결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넷 공유 기술이다.출처 : 위키백과 * 모뎀 : 컴퓨터나 다른 장치들이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장치  테더링이란(tethering, PAM)이란 휴대폰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로 인터넷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테더(tether)는 밧줄이라는 뜻으로, 휴대폰과 다른 기기를 마치 밧줄로 연결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어디서든 스마트폰만 있으면 무선 인터넷이 안되거나 암호를 모른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다. 반드시 휴대폰의 데이터를 써야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공유.. 2024. 6. 24.
파싱(Parsing)/파서(Parser)란? ■ 파싱(Parsing)문장이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을 분해하고 분해된 성분의 위계 관계를 분석해 구조를 결정하는 것데이터를 분해하고 분석하여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고 다시 빼내는 프로그램웹상에서 주어진 정보를 내가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서버에서 불러들이는 것어떤 페이지(문서, html 등)에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특정 패턴이나 순서로 추출해 가공하는 것파서(parser)는 컴파일의 일부로서 원시 프로그램의 명령문이나 온라인 명령문, HTML 문서 등에서 Markup Tag 등을 입력으로 받아들여서 구문을 해석할 수 있는 단위와 여러부분으로 분할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파서(parser)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구문 트리(parser tree)로 재구성하는 구문 분석 과정■ 파서(Parser)컴파일.. 2024. 6. 24.
마크업 언어란? xml 파일이란? ■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마크업 언어는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이다.출처 : 위키백과 마크업 언어는 양식이 있는 문서의 한 종류이며 그 양식을 태그(좌, 우 부등호처럼 생긴 꺽쇠로 구분) 등으로 구분해 문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문서이다.​쉽게 말해서 마크업은 태그 등을 이용해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방법이다(속성부여도 가능).​이 중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HTML이며 줄임말을 풀어쓰면 Hyper Text Markup Language 라고 한다. HTML은 웹페이지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그 밖에도 여러 마크업 언어들이 존재한다.​마크업 언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다르다. 마크업 언어는 단..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