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15

[네트워크] OSI 모델 7계층_HTTP 프로토콜 ■ HTTP 프로토콜※ 웹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들웹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된다. 웹 표준이라고 불리는 HTML, Javascript, CSS는 프론트 엔드로 실행은 클라이언트 쪽에서 되지만, 서버 쪽에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을 받아오는(웹 표준 데이터) 프로토콜을 HTTP 프로토콜이다. HTTPS는 HTTP에 보안 요소들을 추가한 프로토콜이다. ASP/ASP.NET, JSP, PHP 등은 벡엔드로 서버 쪽에서 실행되는 코드로 웹 서버 페이지를 만드는 기술들이다.● HTTP 프로토콜의 특징Hyper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서, www에서 쓰이는 핵심 프로토콜로 문서의 전송을 위해 쓰인다. 오늘날 거의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2024. 6. 25.
[네트워크] OSI 4계층 모델_TCP 프로토콜 ■ TCP 프로토콜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통신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TCP 프로토콜은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서 연결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잘 받았는지 응답을 받는다(확인한다). TCP의 안정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일반적으로 TCP 대신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TCP는 UDP보다 안전하지만 느리다.■ TCP 프로토콜 구조 일반적인 길이는 20바이트이지만 옵션이 붙으면 최대 60바이트까지 가능하다.Source Port : 출발지 포트 번호, 2바이트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 번호, 2바이트.. 2024. 6. 24.
[네트워크] OSI 4계층 모델_TCP, UDP 프로토콜 ■ 4계층 프로토콜● 4계층에서 하는 일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송신자의 프로세스와 수신자의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세스란 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메모리에서 동작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 그리고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프로토콜(4계층 프로토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결 지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다. 보다 단순한 전송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도 있다.​● TCP 프로토콜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2024. 6. 24.
[WSL] WSL 정의 및 설치 ■ WSL 정의WSL(Window Subsystem for Linux)은 Windows에 리눅스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하위 시스템이다. WSL에 우분투(Ubuntu), 데비안(Debian), 오픈수세(OpenSUSE), 칼리(Kali) 등을 설치할 수 있다. Ubuntu on Windows는 WSL에 설치할 수 있는 Ubuntu 배포판이다.​WSL을 이용하면 멀티부팅이나 VM과 같은 느린 환경이 아니라 윈도우에서 리눅스 환경처럼 Powershell을 Bash처럼 사용하고, Linux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Linux 커널조차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부팅속도도 매우 빠르고 적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WSL 설치"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과 .. 2024. 6. 24.
URI, URL, URN 차이점 ■ URL / URI / URN 차이점URI는 URL과 URN을 포함하고 있다. 즉, URL과 URN은 URI의 하위개념이다. 이들의 각 뜻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URI - 자원의 식별자URL - 위치(Location)URN - 이름(Name)■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어디에 있는지 자원 자체를 식별하는 방법자원의 위치뿐만 아니라 자원에 대한 고유 식별자로서 URL의 의미를 포함한다.URI의 존재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써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다닌다.URI의 하위개념으로 URL, URN이 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URL은 Resource의 정확한 위치 정보(파일의 위치)를 나타낸다.URL을.. 2024. 6. 24.
클라우드(Cloud)란? ■ 클라우드(Cloud)클라우드란클라우드란 컴퓨터 데이터를 로컬 PC의 내부 디스크에 보관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중앙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 공간을 클라우드라고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클라우드는 컴퓨팅이라는 단어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많이 부르는데,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필요에 따라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만 연결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저장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기반 컴퓨팅의 일종으로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클라우드 서비스란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 상에 자료를 저장해두고 사용자가 필요한 자료나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 2024.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