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22

[5-2] 모듈 ■ 모듈모듈이란 미리 만들어 놓은 .py 파일이다(함수, 변수, 클래스 등). 쉽게 말해 모듈은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파이썬 파일이라고 할 수 있다.​예를 들어 test.py라는 파일에 add 기능이 있는데 다른 파이썬파일인 hello.py에 그 기능을 import해서 add를 출력한다. 그런데 만약에 import할 test.py에 add 뿐만 아니라 sub, div 등 다양한 기능이 있다고 가정하자. 그 중 add 기능만 가지고 오고 싶다면.. ■ if __name__ == "__main__": 의미만약 test.py 파일에 어떤 값을 print한다면 test.py를 import해서 사용할 hello.py에서 아무런 명령도 하지 않고 import만 했는데도 불구하고 t.. 2024. 6. 30.
[5-1] 클래스 클래스 : 반복되는 변수 & 메서드(함수)를 미리 정해놓은 틀(설계도)■ 클래스가 필요한 이유- 계산기 1개>>> result = 0>>> def add(num): global result result += num return result>>> print(add(3))>>> print(add(4))37- 계산기 2개 (함수가 반복됨)>>> result1 = 0>>> result2 = 0>>> def add1(num): global result1 result += num return result1>>> def add2(num): global result2 result += num return r.. 2024. 6. 30.
[4-3] 파일 읽고 쓰기 파일열기모드설명r읽기 모드 : 파일 읽기만 할 때 사용w쓰기 모드 : 파일에 내용을 쓸 때 사용a추가 모드 : 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할 때 사용 ■ 파일 생성하기 >>> f= open("newfile.txt, 'w')>>> f.close() 위 소스코드를 입력하니 newfile.txt라는 파일이 생성되었다.■ 파일 쓰기 모드로 열어 출력값 적기>>> f = open("newfile.txt", 'w', encoding="UTF-8")>>> for i in range(1,11): data = "%d번째 줄입니다.\n" % i f. write(data)>>> f.close() ■ 파일 읽기 모드 (1) readline을 사용해서 파일의 첫 번째 줄을 읽어 출력>>> f =.. 2024. 6. 30.
[4-2] 사용자 입출력 대부분의 완성된 프로그램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에 맞는 출력을 내보낸다. ■ 사용자 입력 (1) input 사용하기>>> a = input("enter the number : ")>>> print(a)enter the number : 1010(2) print 사용하기- print 안에 콤마(,) 없는 경우>>> print("life" "is" "too short")lifeistoo short- print 안에 콤마(,) 있는 경우 >>> print("life", "is", "too short")life is too short- 0~9까지의 i를 출력>>> for i in range(10): print(i)0123456789- 0~9까지의 i를 출력 but 줄이 다음 줄로 넘어가지 않고 한 .. 2024. 6. 30.
[4-1] 함수 ■ 함수 함수는 어떤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후 그 결과물을 출력한다. y = 2x + 3 이라는 함수를 생각해보면, 입력값 x에 따라 출력값 y 이 변하는 함수다. ■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작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때 함수가 필요하다. 반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괏값을 리턴해 준다'라는 식의 함수로 작성하는 것이다.​함수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자신이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능 단위의 함수로 분리해 놓으면 프로그램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에서 입력한 값이 여러 함수를 거치면서 원하는 결괏값을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 2024. 6. 30.
[1-1] 변수 ■ 변수(variable)변수란 어떤 값을 담는 상자이다. 예를 들어, a = 3이라고 하는 것은 "a라는 상자에 3이라는 숫자 자료를 담는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것을 우리는 "변수를 선언한다"라고 표현한다.​우리가 수학시간에 배운 등호 "="는 프로그래밍에서 "=="로 표현한다.변수_이름 = 변수에_저장할_값- 변수 a, b, c>>> a = 1>>> b = "python">>> c = [1,2,3]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인 C나 JAVA에서는 변수를 만들 때 자료형의 타입을 직접 지정해야 한다. 하지만 파이썬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료형의 타입을 지정하기 때문에 더 편리하다.​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객체란 자료형 데이터(값)와 같은 것을 .. 2024.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