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네트워크

[네트워크] OSI 모델 2계층_이더넷

by 준보틱스 2024. 6. 24.

OSI 모델 2계층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오류제어, 흐름제어를 수행한다.

2계층의 네트워크 크기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는 MAC 주소(물리적인 주소)이다. MAC 주소는 12개의 16진수로 표현한다. 앞 6개의 주소는 OUI는 IEEE에서 부여하는 일종의 제조회사 식별 ID이고, 뒤의 6개 주소는 고유번호로 제조사에서 부여한 고유번호이다.

Ethernet 프로토콜

Ethernet 프로토콜은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총 14바이트로 Destination Address, Source Address, Ethernet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적지 MAC 주소 6바이트, 출발지 MAC 주소 6바이트, 나머지 Eternet Type 2바이트가 들어간다.

MAC 주소

데이터 통신에 쓰이는 프로토콜의 계층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화하여 설명하는 OSI 모델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일부에 해당한다. MAC 주소는 간단히 말해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이더넷 기반 기기에는 모두 다 하나씩 할당되어 있는 고유한 ID로 컴퓨터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있는 컴퓨터의 물리적 주소이다. 윈도우에서 자신의 MAC 주소를 확인하려면 cmd에서 getmac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 MAC 주소 구성

총 4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의상 8비트씩 6자리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앞의 3자리(24비트)는 제조사 코드, 뒤의 3자리(23비트)는 기기 고유코드이다.

● MAC 주소 vs IP 주소

IP 주소와 MAC 주소의 차이를 설명하자면, IP 주소는 내가 미국에 있는 A 주소로 데이터를 보낼 때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주소라면, MAC 주소는 바로 옆에 나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와 통신할 때 사용되는 주소를 말한다. 시작점에서 끝점에 가기 위해서 사이 사이의 노드들을 거쳐 데이터가 전달된다. MAC 주소는 컴퓨터 뿐만 아니라 라우터 스위치 등 모든 통신 장비에 붙어있다. IP 주소는 변동 가능성이 있지만 MAC 주소는 절대 변하지 않는 그 기계의 고유한 주소와 같은 개념이다.

● MAC 주소 필요성

미국에 존재하는 컴퓨터와 통신한다고 생각해보면, 우리는 데이터를 옆에 사람 옆에 사람 통해 통해서 전달하는게 우리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이다. 이렇게 나와 이웃 간의 통신을 보장해주는 프로토콜이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이고 이 때 통신에 필요한게 MAC 주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