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clude <stdio.h> // 표준 입출력 헤더 파일 포함문
int main(void) // 프로그램 진입점
{
printf("Hello World!! \n"); // 함수 호출문
return 0; // 결과 반환문
}
■ # include // 표준 입출력 헤더 파일 포함문
C언어에서 #이 붙어 있는 구문은 약속한 코드로 바꾸어주는 매크로 문법이다.
매크로 구문 중에서 # include는 뒤에 표시한 파일의 내용을 소스파일에 포함시키는 구문이다. 미리 작성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거나 다른 파일에 있는 내용을 포함할 때 사용하는 구문이다. 여기서 포함한 stdio.h 파일에는 printf, scanf 등과 같은 키보드에서 입력받거나 모니터에 출력하는 표준 입출력(Standard Input Output) 기능을 사용할 때 포함하는 구문이다.
■ int main(void) // 진입점 함수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딩하고 표준 입출력 장치 파일을 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개발자가 작성한 main 함수가 시작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main 함수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main 함수를 프로그램 진입점(시작하는 지점) 이라고 볼 수 있다.
★ int main(void)와 int main()의 차이
int main(void)와 int main()은 둘 다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라는 뜻을 가진다. 하지만 조금의 차이점이 있다.
- int main(void) : 표준 C언어에서는 매개변수가 없음을 명시적으로 표현, 코드 가독성과 명확성을 높임
- int main() : 구식 C언어 스타일로 매개변수가 없음을 의미, 빈 괄호()는 매개변수의 존재 여부를 명확히 정의하지 않으므로, 이 함수가 호출될 때 매개변수를 받을 수도 있음, 이 방식은 모호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최신 C 표준에서는 권장X
■ printf // 함수 호출문
printf는 표준 출력(모니터, 콘솔 화면)에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는 함수이다.
■ return 0; // 결과 반환문
return 문은 함수에서 수행한 결과를 반환할 때 사용한다.
■ cmd를 통해 프로젝트 실행
- cmd 들어가서 명령 프롬프트 실행
- 솔루션 폴더 안 Debug 폴더로 이동 (cd C:\coding\hello\x64\Debug)
- 솔루션 .exe 파일 실행
■ C 언어 프로그래밍
우리가 Visual Studio에 소스 코드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작업을 프로그래밍 또는 코딩이라 하며 다음과 같이 소스 코드 편집 → 컴파일 → 실행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c 소스 파일은 .obj 파일을 거쳐 .exe 파일로 생성된다.
'C, C++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언어] 반복문 - for, while, do while (0) | 2024.12.21 |
---|---|
[C 언어] 서식 지정자 (0) | 2024.12.20 |
[C 언어] 표준 입출력 - printf, scanf, getchar (0) | 2024.12.19 |
[C 언어] 정수 형식, 정수형 변수, 실수형 변수, 상수 (1)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