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IT지식

비트(Bit)와 바이트(Byte)

by 준보틱스 2024. 6. 23.

사람 간의 대화에서 언어가 필요하듯, PC와 사람 간의 대화를 위해 약속된 언어가 필요하다. 그 언어를 2진수(binary) 또는 Bit(비트) 라고 한다. 비트란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다. 0과 1을 표현하는 1비트는 0 또는 1인 숫자 여덟 개를 모아 표시할 수 있는데, 이 단위를 바이트라고 한다. 8비트가 모이면 1바이트가 된다.(8Bit == 1Byte)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Byte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한다. 디지털 데이터를 만들 때는 8비트를 Byte로 다루는 것이 좋다. 0 또는 1인 숫자 8개의 집합이 1바이트다. 컴퓨터는 모든 것을 0과 1의 집합으로만 다룬다. 키보드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은 숫자와 문자의 대응 표를 미리 만들어 두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응 표를 문자코드(character code)라고 한다. ASCII 코드는 알파벳, 기호, 숫자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 코드이다.

Bit(비트)

  • 컴퓨터에서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데이터를 처리, 저장, 전송할 때 사용)
  • 0과 1로 정보처리
  • bit 또는 b로 표기
  • 반도체에서는 전류를 흘렀다 끊었다 하면서 정보를 기억한다.

Byte(바이트)

  • 컴퓨터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중 가장 작은 주소
  • 1Byte==8Bits
  • 2Byte(16Bits)는 work
  • B로 표기

데이터 단위

데이터 기억용량 단위
바이트 1 Byte 8 Bit
킬로바이트 1 KiloByte 1024 Byte
메가바이트 1 MegaByte 1024 KB
기가바이트 1 GigaByte 1024 MB
테라바이트 1 TeraByte 1024 GB
페타바이트 1 PetaByte 1024TB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단위(Network Data Rate Units)

  • 데이터 전송률(DTR)은 주어진 시간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양
  • 주어진 경로의 대역폭이 클수록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짐
  •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률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통신 링크를 통과하는 평균 비트 수(비트 전송률)
  • 문자 or 기호 or 단위 시간 당 데이터 블록
  • 일반적인 데이터 속도 단위는 초당 비트 수(bit/s)와 초당 바이트 수(B/s)
Mbps 초당 1메가 비트를 전송
Kbps 초당 1킬로 비트를 전송
MB/s 초당 1메가 바이트를 전송
KB/s 초당 1킬로 바이트를 전송
bps 초당 1비트를 전송
cps 초당 1캐릭터(1바이터)를 전송

통신속도 단위

● bps(bit per second)

  • 초당 전송되는 bit 수
  • 통신기기의 속도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

BPS(Byte per second)

  • 초당 전송되는 Byte 수
  • 1 Byte == 8 bits
  • 자료의 전송 때 주로 사용

cps(character per second)

  • 초당 전송되는 Character(문자)의 수
  • 하나의 character는 8bits로 Byte와 같은 의미이지만 앞 뒤로 start/stop bit를 추가되어 10bits다.

pps(packet per second)

  • 초당 packet 수
  • 네트워크 성능 측정 단위
  • 1 Packet == 84Byte
  • 1초 동안 보낼 수 있는 패킷 측정